본문 바로가기

2025년 이더리움 (ETH) 코인 분석 및 시세 전망

by Ethan X 2025. 7. 14.

2025년 이더리움 (ETH) 코인 분석 및 시세 전망

 


1. 이더리움의 현재 위치 – 비트코인 다음의 핵심 자산

이더리움은 단순한 알트코인을 넘어, 탈중앙화 금융(DeFi), NFT, Web3의 기반 인프라로 자리 잡은 플랫폼입니다.

 

2025년 7월 현재, 이더리움은 여전히 시가총액 기준 2위 코인이며, ETF 승인, 블롭(Blob) 기술 적용, 레이어2 확장 등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강한 펀더멘털 기반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ETH는 단순 시세 추종이 아닌, 플랫폼 자체의 사용성 확대가 가치를 결정하는 구조라는 점이 장기 보유의 핵심 논리입니다.


2. 2025년 주요 기술 업데이트 – Danksharding과 L2 확장

이더리움은 2022년 머지(Merge) 이후, 점차적으로 확장성과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는 '로드맵'을 추진 중입니다.

 

2025년 기준 핵심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 Proto-Danksharding (EIP-4844): 블롭(blob) 도입으로 L2 수수료 감소
  • 레이어2 (L2) 활성화: Arbitrum, Optimism, Base 등의 생태계 성장
  • Validator 증가: 80만 개 이상의 활성 검증자 → 네트워크 보안 강화

EIP-4844 도입 이후 평균 트랜잭션 수수료는 기존 대비 약 60% 이상 하락했고, 블롭 저장 데이터의 효율성은 레이어2 확장의 가속화로 이어졌습니다.

 

즉, 이더리움은 지금도 진화 중이며, ‘비싼 체인’에서 ‘확장 가능한 범용 플랫폼’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3. ETF 승인과 기관 수급 – 비트코인 뒤따르는 흐름

2024년 말, 미국 SEC는 ETH 현물 ETF를 조건부 승인하며, 2025년 초부터 본격적으로 상장 펀드 매입이 시작됐습니다.

 

대표 운용사들의 매수 규모는 아직 BTC에 비해 작지만, 다음과 같은 수급 특징이 있습니다:

ETF 운용사 2025년 보유 ETH (추정) 매입 구간
BlackRock 약 800K ETH $2,500~$3,300
Grayscale 1.2M ETH (전환) 기존 GBTC 전환분
Fidelity 약 500K ETH $2,800~$3,600

 

이처럼 ETH는 기관 자산으로도 빠르게 편입되고 있으며, 이는 장기 유통량 감소와 시세 안정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4. 온체인 지표로 본 이더리움 – 공급 감소와 장기 보유자 증가

2025년 7월 기준, 이더리움의 온체인 데이터는 공급 축소 + 장기 보유 강화라는 흐름을 보여줍니다.

  • 소각량 (Burned): EIP-1559 도입 이후 누적 소각량 4.2M ETH
  • 총 유통량: 약 118M ETH → 2025년 7월 기준 116.5M ETH로 감소
  • 1년 이상 미사용 ETH: 전체의 55% 이상 → 고래·장기보유자 강세

‘디플레이션 토큰’이라는 특성은 BTC보다 높은 자산 희소성 논리를 만들어주며, 특히 ETF 이후 유입되는 기관 자금이 이러한 공급 감소와 겹치면서 중장기 상승 구조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5. 스테이킹 동향 – 유통 가능 물량 제한 요인

이더리움은 PoS 전환 이후 스테이킹된 ETH가 유통량을 제한하는 구조입니다.

구분 2025년 7월 기준 비율
총 스테이킹 수량 약 32.1M ETH 전체의 약 27.5%
LSD 비중 (Lido 등) 약 17M ETH 스테이킹 중 53% 이상

 

특히 Lido, Rocket Pool, EigenLayer 등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토콜이 이더리움 생태계 내에서 강한 락업 효과를 만들어냄으로써, 단기 매도 압력을 상당히 줄이고 있습니다.

 

즉, 이더리움은 ‘거래 가능한 물량’이 점점 줄어드는 구조이며, 이는 시장 수요가 유지되는 한 시세 지지력을 형성하게 됩니다.


6. ETH 시세 전망 – 중장기 시나리오 정리

이제까지의 기술 변화, 온체인 지표, 수급 구조를 바탕으로 2025년 하반기~2026년까지의 중장기 시나리오를 정리해볼게요.

시나리오 예상 가격 흐름 조건
강세 시나리오 2025년 말 $5,800~$6,500 도달 ETF 자금 지속 유입 + 거래 수수료 증가
중립 시나리오 $4,500 부근 횡보 후 2026년 반등 금리 정책 불확실성, 수요 완화
약세 시나리오 $3,200~$3,500 재조정 기관 매도 + 거시경제 악화

 

현재 구간은 중기 매집과 눌림목 대응이 가능한 지점이며, 기관 자금의 추세적 유입이 유지된다면 장기적으로는 $6K 이상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시장 변동성과 리스크를 감안해 신중한 판단 바랍니다.

 

 

코인거래소 가입 혜택 받기

코인 거래소 할인 혜택 모음

배너 이미지 클릭 시 EthanX 전용 링크로 이동 ✨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