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구매자라면 절대 놓쳐선 안 되는 것이 바로 전기차 보조금입니다.
특히 2025년은 정부의 전기차 정책이 크게 바뀐 해로, 테슬라를 고려하는 소비자라면 최신 기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 모델3, 모델Y 기준으로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보를 국고 + 지자체별로 정리하고, 추가로 중고차 보조금, 충전기 설치 지원 등 새로운 정책들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됩니다.
- 국고 보조금: 환경부에서 전기차 성능과 가격에 따라 차등 지급
- 지자체 보조금: 각 시·군·구의 예산과 정책에 따라 추가 지원
모델3, 모델Y는 모두 6,500만 원 이하로 일부 혹은 전체 국고 보조금 지급 대상입니다.
2025년 기준 최대 국고 500만 원 + 지자체 8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정부는 차량 가격에 따라 국고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고 있습니다.
차종 | 가격 | 국고 보조금 |
---|---|---|
모델3 RWD | 5,499만 원 | 500만 원 |
모델Y RWD | 5,699만 원 | 480만 원 |
모델Y 롱레인지 | 6,499만 원 | 340만 원 |
모델S/X | 1억 원 이상 | 지급 불가 |
기준: 6,500만 원 미만은 부분 지급, 8,500만 원 이상은 미지급
아래는 2025년 4월 기준 지자체별 보조금 예시입니다.
지역 | 모델3 | 모델Y |
---|---|---|
서울 | 300만 원 | 280만 원 |
부산 | 350만 원 | 320만 원 |
대전 | 400만 원 | 370만 원 |
광주 | 350만 원 | 330만 원 |
제주 | 450만 원 | 420만 원 |
제주와 지방 중소도시는 보조금이 높고, 수도권은 예산이 빨리 소진되는 편입니다.
- 출고 가능 재고 확인 후 차량 계약
- 환경부 통합누리집 신청 (ev.or.kr)
- 구청 심사 후 승인 → 차량 등록
주의할 점은 보조금은 선착순으로 지급되며, 지자체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된다는 점입니다.
- 고가 전기차 제한 강화: 8,500만 원 이상은 국고 보조금 제외
- 가정용 충전기 설치 지원 확대: 일부 지자체, 최대 150만 원 지원
- 중고 전기차 보조금 도입: 제주·부산 등 일부 지역에서 시범 시행 중
※ 출처: 환경부, 각 지자체 발표 (2025년 4월)
서울 기준, 테슬라 차량의 실구매가는 아래와 같이 줄어듭니다.
차종 | 출고가 | 보조금 합계 | 실구매가 (서울 기준) |
---|---|---|---|
모델3 RWD | 5,499만 원 | 800만 원 | 4,699만 원 |
모델Y RWD | 5,699만 원 | 760만 원 | 4,939만 원 |
2025년 보조금 제도는 계속해서 변경되고 있으며, 예산이 소진되면 즉시 중단됩니다.
특히 모델3·Y는 가격 대비 보조금 효율이 가장 좋은 테슬라 모델입니다.
또한 중고차 시장에서도 보조금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구매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정책 변화와 예산 소진 속도를 고려할 때, 2025년 상반기가 가장 유리한 시점입니다.
'테슬라 & 전기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보험료는 왜 비쌀까? 테슬라와 내연기관차 비교 총정리 (0) | 2025.04.24 |
---|---|
2025년 출시 임박? 테슬라 저가형 모델 2, 한국 상륙 가능성은 (0) | 2025.04.24 |
2025년 테슬라 전기차 충전 비용, 실제 요금 분석 (0) | 2025.04.24 |
테슬라 vs 현대차: 2025년 한국 전기차 시장 대결 예고 (0) | 2025.04.24 |
테슬라의 미친 실험: 머스크가 꿈꾸는 플라잉카와 한국 가능성 (1)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