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예비군 핵 및 화생방 개인보호 선행학습 평가 답안(기본B)
1. 적 핵 공격 시 개활지에서 엎드리는 자세 시 복부는 지면과 (⠀⠀⠀)시키고, 발뒤꿈치는 붙여 (⠀⠀⠀)모양으로 고정한다.
정답: 4) 이격, T자
이유: 핵폭발의 충격파와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복부를 지면과 이격시키는 것은 교범에 명시된 표준 자세입니다.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끝이 직선으로 고정된 T자 형태로 고정
2. 임무형 보호태세 A단계 시 착용하는 보호장구류는?
정답: 3) 방독면
이유: MOPP A는 화생방 위협 초기 대응으로, 호흡기 보호를 위해 방독면을 착용합니다. 다른 장구는 위협 수준이 높아질 때 추가됩니다. 이는 화생방 보호태세 지침에 명시된 표준 절차로, 평가에서도 일관되게 적용됩니다.
3. 방독면 착용 후 "넣어"라는 구령에 방독면을 넣고 휴대주머니의 스냅단추를 (⠀⠀⠀), (⠀⠀⠀), (⠀⠀⠀)순으로 잠근다.
정답: 2) 아래, 위, 중간
이유: 휴대주머니 스냅단추를 아래, 위, 중간 순으로 잠그도록 교육하며, 평가 출제자가 이 순서를 정답으로 설정.
4. 화생방 경보 발령 시 착용하는 방독면의 검사단계까지의 착용 시간은?
정답: 2) 9초
이유: K1 방독면 착용 및 기밀 검사(호흡 확인, 정화통 점검)는 9초 이내에 완료해야 하며, 이는 예비군 훈련 표준입니다. 7초는 너무 짧고, 12초나 15초는 기준 시간을 초과하므로 9초가 적절합니다.
5. K1 방독면 착용 방법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정답: 3) (우수자 기준) 오른손으로 음성진동배기판을 잡고 방독면을 꺼내어 착용한다.
이유: 방독면은 렌즈 부분을 잡아 꺼내야 하며, 음성진동배기판을 잡으면 손상 위험이 있어 교범에 맞지 않습니다.
6. 임무형 보호태세 3단계 시 착용하는 보호장구류가 아닌 것은?
정답: 4) 보호장갑
이유: MOPP 3단계에서는 보호의 상·하의, 전투화덮개, 방독면을 착용하며, 보호장갑은 MOPP 4에서 추가됩니다.
7. 방독면 부수물자가 아닌 것은?
정답: 1) 휴대주머니
이유: 부수물자 정의: 흐림방지 키트, 수통마개뭉치, 저시력자용 안경은 방독면 사용에 필요한 부수물자지만, 휴대주머니는 기본 구성품으로 간주됩니다.
8. 정화통 교체 시 왼손으로 정화통을 (⠀⠀⠀) 방향으로 돌려 제거하고 새로운 정화통을 (⠀⠀⠀)방향으로 돌려 교체한다.
정답: 3) 반시계, 시계
이유: 나사식 결합: 정화통은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제거하고, 시계 방향으로 돌려 장착하는 나사식 결합 방식을 따릅니다.
9. 오염된 상황하 음료취수 방법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정답: 4) 수통을 아래로 내려 수통의 물을 취수 빨대를 통해 취수한다.
이유: 수통 위치: 음료 취수 시 수통을 위로 들어 물이 취수 빨대를 통해 흐르도록 해야 하며, 아래로 내리면 물 흐름이 불가능합니다.
10. 임무형 보호태세 단계별 확인사항으로 올바른 것은?
정답: 1) 화생방 경계경보 발령 시 방독면을 착용한다.
이유: 경계경보 대응: 화생방 경계경보는 MOPP A단계를 의미하며, 방독면 착용이 필수 조치로 교범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답안 정리 :
1번 : 4)
2번 : 3)
3번 : 2)
4번 : 2)
5번 : 3)
6번 : 4)
7번 : 1)
8번 : 3)
9번 : 4)
10번 : 1)
'돈 되는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대한항공 마일리지 적립하기 (0) | 2025.04.18 |
---|---|
2025년 예비군 안보교육 시험문제 답안(A형) (0) | 2025.04.18 |